함박꽃나무 산목련 목란 천녀화
함박꽃나무Oyama Magnolia합판초, 合鈑草, 함백이꽃, 천녀목란, 천녀화, 天女化, 산목단, 산목란, 산목련, 개목련, 힌뛰함박꽃분류현화식물문 > 목련강 > 목련목 > 목련과 > 목련속서식지 산지의 숲학명Magnolia sieboldii K. Koch국내분포전국해외분포중국 북부, 일본개요전국의 산골짜기 숲 속에 비교적 흔하게 자라는 낙엽 작은키나무로 중국 북부, 일본에도 분포한다. 높이는 6-10m다. 겨울눈에 누운 털이 많다.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이다. 꽃은 5-6월 잎이 난 후에 옆 또는 밑을 향해 피며 흰색이고 향기가 난다. 꽃받침잎은 3장, 난형이며, 꽃잎보다 작다. 꽃잎은 6-9장이며 도란형이다. ‘산에 자라는 목련’이라는 뜻으로 ‘산목련’이라고도 부른다. 북한에서는 ‘목란’이라 부르며..
2025. 2. 7.
함박꽃나무묘목, 산목련묘목 , 산목련, 함박꽃나무
함박꽃나무묘목, 산목련묘목 , 산목련, 함박꽃나무 산목련, 함박꽃나무, 산목련묘목, 산목련묘목함박꽃나무씨앗, 산목련씨앗[식물분류학자 유기억교수가 들려주는 야생화 이야기, "내 이름을 불러주세요"]그림=홍정윤, 함박꽃나무존경하는 은사님 중에 웃으실 때면 늘 큰소리를 내며 얼굴 가득 함박웃음을 짓는 분이 계신다. 늘 즐거운 입담이 함께 어우러지니 선생님 곁에 있으면 슬프거나 외로운 표정을 지을 시간이 없다. 아내에게서 ‘웃는 연습 좀 하라’는 조언을 듣는 지경인 나로서는 솔직히 부러울 뿐이다.어느 회사가 ‘함박웃음’을 간판으로 내세우며 판촉에 열을 올릴 때 처음에는 좀 생소하고 어색했지만 보면 볼수록, 들으면 들을수록 친근감이 느껴지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. 웃음으로 병을 치료하는 방법이 소개되기도 했..
2024. 10. 11.
함박꽃나무
함박꽃나무, 산목련 함박꽃나무, 산목련 함박꽃나무 원종 - 수술이 붉은 색 함박꽃나무 변종 - 원종과 달리 수술에 붉은 색이 없다 함박꽃나무 | 산목련, 목란(木蘭)(북한명), 함백이꽃, 흰뛰함박꽃, 얼룩함박꽃나무 Ham-bak-kkot-na-mu Magnolia sieboldii K. Koch ○ 국명정보 함박꽃나무 : 정태현, 도봉섭, 이덕봉, 이휘재(1937) 함백이꽃, 흰뛰함박꽃 : 우리나라식물명감 (박만규, 1949) 얼룩함박꽃나무 : 한국식물도감(상권 목본부) (정태현, 1957) ○ 국명의 유래 1. "함박꽃 + 나무"의 구성임. 함박꽃나무라는 이름은 박꽃과 비슷하게 큰 꽃 또는 함지박(함박)을 닮은 꽃을 피우는 나무는 뜻에서 유래했다. 참고 : 조민제, 최동기, 최성호, 심미영, 지용주, ..
2023. 11. 20.
함박꽃나무, 산목련, 산목련묘목
함박꽃나무, 산목련, 산목련묘목 숲 마을 함박꽃나무 묘목, 산목련 묘목 함박꽃나무묘목 , 산목련 묘목 숲 마을 함박꽃나무 묘목 순백의 단아한 꽃에 매료 되어 묘목 생산까지 하게 된 함박꽃나무, 산목련 산 함박꽃나무씨앗, 산목련 씨앗 초여름 순백의 단아한 함박꽃나무, 산목련꽃 - 신이화 함박꽃나무 분류서식지학명국내분포해외분포 현화식물문 > 목련강 > 목련목 > 목련과 > 목련속 산지의 숲 Magnolia sieboldii K. Koch 전국 중국 북부, 일본 개요 전국의 산골짜기 숲 속에 비교적 흔하게 자라는 낙엽 작은키나무로 중국 북부, 일본에도 분포한다. 높이는 6-10m다. 겨울눈에 누운 털이 많다.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이다. 꽃은 5-6월 잎이 난 후에 옆 또는 밑을 향해 피며 흰색이고 향기가 난다..
2022. 10. 3.